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다. 2004년 10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현대로템 의왕공장에서 제작되어 201~230편성이 도입되었다.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스테인리스 재질의 차체에 청색 코팅된 창문, 4도어 출입문, LED 안내 표시 장치를 갖추고 있다.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며, 현재 문양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문양에서 영남대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차량 이름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회사 색상 | #00aa80 |
운행 정보 | |
량수 | 6량 |
MT비 | 3M 3T |
기동 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ATP/ATO 구간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감속도 (상용) | 3.5 km/h/s |
감속도 (비상) | 4.5 km/h/s |
차량 정원 | 선두차 113명, 중간차 124명 |
차량 규격 | |
전체 길이 | 17,500 mm |
전체 폭 | 2,750 mm |
궤간 | 1,435 mm |
대차 간 거리 | 2,100 mm |
전기 및 구동 장치 | |
전기 방식 | 직류 1,500 볼트, 가공 전차선 |
구동 장치 | WN 드라이브 |
전동기 출력 | 210 kW |
편성 출력 | 2,520 kW (4320 마력) |
제어 장치 | VVVF-IGBT (미쓰비시) (현대로템 IPM) 2레벨 1C4M 제어 |
제동 및 보안 장치 |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보안 장치 | ATP/ATO [수동운전/반자동운전] |
기타 | |
용도 | 지하철구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제작사 | 로템 (→ 현대로템) |
제작 연도 | 2004년 (201~225편성) 2005년 (226~230편성) |
생산량 | 30개 편성 180량 |
2. 구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VVVF영어 방식의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1차분과 2차분으로 구분된다. 현재 총 30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2. 1. 1차분 (201~230편성, 2004년 3월~2005년 2월)
2005년 10월 18일 1차 구간(문양~사월) 개통에 대비하여 도입되었다. 과거 대우중공업 소유였던 로템 의왕공장에서 생산되었으나, 공장 내 유치 공간이 부족하여 2004년 여름부터 2005년까지 '''로템 창원공장'''으로 갑종회송되었다. 2004년 10월 17일에 첫 두 편성이 동대구역으로 갑종회송된 후 트레일러에 적재, 문양차량사업소로 운반되었다.[1] 모든 차량은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다.편성 | 도입 시기 | 운행 중지 시기 | 비고 |
---|---|---|---|
201 편성 | 2004년 | 운행 중 | |
202 편성 | 운행 중 | ||
203 편성 | 운행 중 | ||
204 편성 | 운행 중 | ||
205 편성 | 운행 중 | 헤드라이트가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 |
206 편성 | 운행 중 | ||
207 편성 | 운행 중 | ||
208 편성 | 운행 중 | ||
209 편성 | 운행 중 | ||
210 편성 | 운행 중 | ||
211 편성 | 운행 중 | ||
212 편성 | 운행 중 | ||
213 편성 | 운행 중 | ||
214 편성 | 운행 중 | ||
215 편성 | 운행 중 | ||
216 편성 | 2005년 | 운행 중 | |
217 편성 | 운행 중 | ||
218 편성 | 운행 중 | ||
219 편성 | 운행 중 | ||
220 편성 | 운행 중 | ||
221 편성 | 운행 중 | ||
222 편성 | 운행 중 | ||
223 편성 | 운행 중 | ||
224 편성 | 운행 중 | ||
225 편성 | 운행 중 | ||
226 편성 | 운행 중 | ||
227 편성 | 운행 중 | ||
228 편성 | 운행 중 | ||
229 편성 | 운행 중 | ||
230 편성 | 운행 중 |
한국형 표준전동차에 기초하여 제작되었으며, 차체는 스테인리스 재질이다. 기존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달리 창문에 청색 코팅 마감 처리를 하였다. 선두부 형상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 1차분 전동차와 유사한 유선형이나, 비상탈출구는 설치되지 않았다.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와 구동음이 같다. 운행 방식은 수동 운전 및 반자동 운전이 가능하다.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며, 수요량이 증가할 경우 8량으로 증편할 수 있다. 따라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모든 역들은 8량 대응으로 건설되었다.[1]
201~230편성은 문양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으며, 6량으로 구성되어 있다.[1] 모든 편성은 경검수는 문양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는 1호선 월배차량사업소에서 실시한다.[1] 이때, 차량은 청라언덕역과 명덕역 사이의 연결 선로를 통해 이동한다.[1]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문양 - 영남대
3. 기술 사양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제작 초기부터 열차 시설 전체를 불연재로 제작하여 운영하고 있다.[1] 2004년에 완성되었으며, 모든 차량은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다.[1]
출입문은 4도어이며,[1] 전면 디자인은 인천 도시철도 1000호대 1차분과 유사하다.[1] 제작 당시부터 불연화 공사가 시행되었다.[1] 좌석은 18m 차량이기 때문에 출입문 사이는 6인용, 차량 말단부는 3인용으로 되어 있다.[1] LED식 안내 표시기는 양쪽 차량 말단부 관통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1]
4. 편성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21XX Tc1 22XX M1 25XX T1 26XX M2 27XX M1 28XX Tc2
5. 차내
제작 당시부터 불연화 공사가 시행되었다. 좌석은 18m 차량이기 때문에 출입문 사이는 6인용, 차량 말단부는 3인용으로 되어 있다. LED식 안내 표시기는 양쪽 차량 말단부 관통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
6. 배속
7. 현재 운행구간
8. 현황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201 편성 2004년 운행 중 202 편성 운행 중 203 편성 운행 중 204 편성 운행 중 205 편성 운행 중 헤드라이트가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206 편성 운행 중 207 편성 운행 중 208 편성 운행 중 209 편성 운행 중 210 편성 운행 중 211 편성 운행 중 212 편성 운행 중 213 편성 운행 중 214 편성 운행 중 215 편성 운행 중 216 편성 2005년 운행 중 217 편성 운행 중 218 편성 운행 중 219 편성 운행 중 220 편성 운행 중 221 편성 운행 중 222 편성 운행 중 223 편성 운행 중 224 편성 운행 중 225 편성 운행 중 226 편성 운행 중 227 편성 운행 중 228 편성 운행 중 229 편성 운행 중 230 편성 운행 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